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30일 윤석열정부 고위공직자들의 재산 내역을 공개했다. 관보 20470호 별권에 게재된 재산내역을 토대로 정리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2022년 12월 말 기준 76억9천725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지난해 8월과 비교하면 5천726만원이 증가했다.
윤 대통령이 신고한 재산 중 90% 이상은 김 여사 명의였다. 윤 대통령 본인 명의 재산은 5억3천만원에 불과하고 나머지 71억6천만원은 김건희 여사 명의였다.
예금 55억8천만원 중 윤 대통령은 5억3천만원을 김 여사는 50억4천만원을 신고했다. 김 여사의 예금은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에 전액 예치돼 있다.
김건희 여사는 사저인 서울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를 비롯해 경기도 양평균 임야와 창고용 토지, 도로 등 총 13건의 건물과 토지를 단독 명의로 보유했다.
윤석열 대통령 부모는 독립 생계 유지를 이유로 재산등록 고지를 거부했고, 장모는 배우자 직계 존속으로 재산 공개 신고 의무가 없다.
재산 신고 대상 고위공직자 2천37명 중 재산 총액 1위는 조성명 강남구청장(국민의힘)이었다. 조 구청장은 지난해보다 4억7천900만원이 증가한 532억5천500만원을 신고했다.
조 구청장은 본인 명의 오피스텔 39채와 상가 28채, 숙박시설 8채 등 토지 131억원, 건물 360억원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 그는 100억이 넘는 사인 간 채권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부처 기준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사람은 검사 출신 이원모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이었다. 이 비서관은 지난해보다 2억200만원 감소한 443억9천300만원을 신고했다.
이 비서관의 배우자 신 씨는 328억원의 주식과 노원구 상계동 쇼핑몰 내 점포 64채를 보유하고 있다. 신 씨는 대통령 전용기 탑승 논란의 주인공으로 자생한방병원 설립자 신준식 명예이사장의 딸이다.
정현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은 배우자가 안산시 상록구에 빌라 16채를 소유했다고 신고했다.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중 가장 많은 주택 신고자이다.
윤석열 정부 고위공직자 232명 (전체 28.5%)은 강남 3구 (강남·서초·송파구)에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명 중 1명은 2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였고, 3채 이상 보유한 사람도 36명이었다.
박진 외교부 장관, 이종섭 국방부 장관,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도 다주택자였고, 윤승영 경찰청 서울국장은 4채를 보유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지난해보다 4억4천7백만원 증가한 43억8천500만원을 신고했다. 배우자 공동명의 서초동 삼풍아파트와 본인 명의 오피스텔과 상가의 부동산 가액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법무·검찰직 재산공개 대상자 50명의 평균 재산은 24억9천만원으로 집계됐다. 1위는 노정연 부산고검장으로 80억6천만원을 신고했다.
이원석 검찰총장은 22억원을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처장은 18억4천만원을 신고했다.
현금 환급성이 높은 골드바를 신고한 공직자도 있었다. 이들은 골드바 외에도 다이아몬드와 반지, 목걸이 등 귀금속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승일 한국전력 사장은 배우자 명의 24K 골드바 500g 2개(총 8천500만원)와 1캐럿 다이아몬드반지(1천만원), 이미현 감사원 감사위원은 본인 명의 24K 골드바 900g(7천만원), 황병주 대검 형사부장은 배우자 명의의 14K 금 150g(650만원)과 다이아몬드 반지·목걸이·귀걸이(2천500만원)을 신고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재산 신고 대상 2천37명의 1인당 평균 재산은 10억4천625만원으로 종전 신고액과 비교하면 평균 2천981만원이 증가했다.
이번 재산 공개 대상은 행정부 정무직(장·차관급) 및 1급 공무원, 국립대학총장 및 시·도 교육감,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등 중앙부처 814명, 지방자치단체 1천223명이다.
관련기사
- 윤석열 부인 김건희는 어떻게 수십 억의 돈을 벌었나?
- 국회의원 최고 부자는 재산 편법증여 의혹 '전봉민'
- 21대 국회의원 최고 부자 Top 10... 1억2천만원 포르쉐 카이엔도 보유
- 文대통령 아들 '주민등록 공개 요구' 곽상도... 정작 본인 아들은 재산 공개 거부
- 국회의원 재산공개... 지난해 대비 평균 '1억 2천만원' 증가
- 항공사에서 한우, 첼로까지 국회의원들의 '별별 재산'
- 드디어 맞춰진 '박근혜 삼성동 자택' 구입 자금의 퍼즐
- '우병우' 해외국채만 95만주, 엄청난 재산 배경은?
- 경제위기? 국회의원 87% 작년보다 재산 증가
- '양곡법 거부' 尹 과거엔 "정부가 추가 매수해 쌀값 하락 막아야"
- "30억 강남 아파트를 7억에" 이 말에 100명이 속았다, 왜?
- 22대 신규 재산 1위 고동진 333억, 100억 이상 모두 국힘
- 10.15 부동산 대책... '선 넘었다' vs. '더 강력해야'
- 전용기, 장동혁 아파트 해명에 "실거주? 부루마블이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