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 노사가 총파업을 8시간 앞둔 시점에 극적으로 단체교섭에 합의하면서 지하철이 정상운행됐습니다. 

노사는 지난 5월부터 15차례에 걸쳐 임단협 협상을 진행했지만, 양측의 주장이 엇갈리며 합의를 하지 못했습니다. 

9월 29일 최종교섭을 앞두고 노포동차량기지에는 저녁 7시 30분부터 부산지하철노조 2500여명이 모여 비상총회를 열었습니다. 

이번 부산지하철 노사 단체교섭 최대 쟁점은 임금 부분이었습니다. 노조는 올해 물가 인상률을 반영해 6.1%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지만, 부산교통공사는 행안부 지침에 따라 1.4% 이상의 인상은 수용할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노조는 임금 인상안을 고집할 경우 정부가 서민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지하철 안전 예산을 삭감할 것을 우려해 공사의 1.4% 인상안을 수용했습니다. 대신 사측에 지하철 안전과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한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부산교통공사 노사는 ▲ 임금 1.4프로 인상(총액대비), ▲고객센터를 역무안전실로 변경, ▲감정노동자 대책으로 폭행피해시 위로휴, ▲공무직 군경럭인정, ▲근무주기 개선 노사공동협의체 구성, ▲4조2교대 체계에 따른 직제 개편 등에 합의했습니다. 

서영남 부산지하철노조 위원장은 "내부의 교섭 투쟁은 잠시 접어두지만 외부의 투쟁, 윤석열 정권의 반노동정책 공기업 구조조정에 대한 투쟁은 계속 진행한다"며 "정권의 각종 지침 예산 통제 및 불합리한 경영평가에 맞서 연대하고 투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노사의 단체교섭 협상이 원만하게 타결되면서 30일 오전 5시로 예고됐던 파업은 철회됐고 지하철은 정상운행되고 있습니다. 

부산지하철 노조는 2019년 이후 3년 연속 파업을 이끌어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이엠피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