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가 성매매 기사에 조국 전 장관의 딸 사진을 그림으로 바꿔 올려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21일 <조선일보>는 "[단독] “먼저 씻으세요” 성매매 유인해 지갑 털어"라는 기사에 사진 대신 그림으로 대체해 보도했습니다. 

보통 성매매나 범죄 관련 기사에는 사진 대신 그림을 활용하는 경우가 자주 있어 이 부분은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조선일보> 기사에 나온 그림 속 인물들은 가공의 인물이 아닌 실존 인물이었습니다. 

그림 속 휴대폰을 받고 있는 여성은 조국 전 장관의 딸 사진과 거의 같습니다. 그림 속 백팩을 메고 있는 남성은 조 전 장관을 그린 이정헌 화백 그림과 유사합니다. 

조국 전 장관과 딸의 사진을 그림으로 바꿔 성매매 관련 기사에 올렸다는 것은 마치 부녀가 성매매와 관련 있는 것처럼 착각하게 만듭니다. 

조 전 장관은 페이스북에 "제 딸 사진을 그림으로 바꾸어 성매매 기사에 올린 조선일보, 기자 이름은 이승규, 이 그림 올린 자는 인간입니까?"라며 강한 분노를 나타냈습니다. 

그림은 <조선일보> 홈페이지에는 다른 그림으로 배치됐고, <조선일보 LA>에는 삭제됐지만 <MSN>에는 그대로 올라가 있습니다. 

조 전 장관은 "조선일보에게 요구합니다"라는 "글에서 교체되기 전 문제 그림을 올린 사람이 누구인지 밝혀주십시오. 이승규 기자, 취재부서 팀장, 회사 그림 디자이너, 편집 책임 기자 등에서 누구입니까? 이 중 한 명인지 또는 복수 공모인지도 알려주십시오."라고 요구했습니다. 

▲2021년 2월 27일 조선일보에 게재된 서민 교수 칼럼, ⓒ조선일보 캡처 *알립니다:일러스트레이터 A씨의 요청에 의해 실명을 익명 처리했습니다. (수정 11월 2일) 
▲2021년 2월 27일 조선일보에 게재된 서민 교수 칼럼, ⓒ조선일보 캡처 *알립니다:일러스트레이터 A씨의 요청에 의해 실명을 익명 처리했습니다. (수정 11월 2일) 

<조선일보>에 나온 그림은 지난 2월 27일에 보도된 서민 단국대 교수의 '조민 추적은 스토킹이 아니다. 미안해하지 않아도 된다'라는 기사에 삽입된 일러스트입니다. 

일러스트에는 조국 전 장관의 딸과 조 전 장관의 뒷모습,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한 장면이 묘사된 그림이 담겨 있습니다. 

<서민의 문파타파>라는 부제목이 달린 칼럼에서 서민 교수는 “부모의 죄가 곧 자식의 죄다. 똑똑히 지켜보고 종놈이 법을 어기면 어찌 되는지 뼈에 새기거라.”라는 문구와 함께 연좌제를 말합니다. 

서 교수는 "조 전 장관 가족, 그리고 조민을 옹호했던 수많은 친문 중 그 누구도 반성하지 않고 있다."며  "조민의 의사 생활을 계속 추적하되, 이에 대해 미안한 마음을 갖지 않아도 되는 이유다."라고 주장했습니다. 

▲2020년 8월 29일 조선일보 2면에 실린 '바로잡습니다' ⓒ조선일보 캡처 
▲2020년 8월 29일 조선일보 2면에 실린 '바로잡습니다' ⓒ조선일보 캡처 

<조선일보>는 지난해 8월 일부 지역판에 실린 <조민,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일방적으로 찾아가 “조국 딸이다, 의사고시 후 여기서 인턴하고 싶다> 기사와 관련해 사과문을 올렸습니다. 

<조선일보>는 8월 29일자 조간 2면 ‘바로잡습니다’를 통해 “이 기사는 사실관계 확인을 충분히 거치지 않은 부정확한 기사였다”며 “피해를 입은 조민씨와 연세대 의료원 관계자들께 깊이 사과드린다. 독자 여러분께도 사과드린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조선일보>는 "2차 취재원의 증언은 확인했는데, 당사자인 조씨나 해당 교수에게 확인하지 않은 것이라 삭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과문은 올렸지만 여전히 조민씨에 대한 제보 의혹이 유효한 것처럼 주장하며 '오보'를 인정하지 않은 것입니다. 

조국 전 장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언론사 오보에 대한 해외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이라면 얼마 정도의 배상액이 선고될지 생각해본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언론사가 특정인을 묘사한 그림을 성매매 관련 기사에 넣어 보도했다는 사실은 실수라고 해도 심각한 명예훼손에 해당합니다. 특히 온라인 기사의 특성상 쉽게 전파되어 당사자는 엄청난 피해를 입게 됩니다. 

<조선일보>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조국 전 장관과 그의 가족에게 깊은 상처를 주는 악의적인 보도 행태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언론의 역할이라고 보기도 어렵거니와 '성폭력 범죄 보도 세부 권고 기준'에도 맞지 않습니다. 

▲조선일보가 올린 사과문 ⓒ조선일보 캡처
▲조선일보가 올린 사과문 ⓒ조선일보 캡처

<조선일보>는 23일 오전 11시 50분경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재했습니다. <조선일보>는 사과문에서 “담당기자는 일러스트 목록에서 여성 1명, 남성 3명이 등장하는 이미지만 보고 기고문 내용은 모른 채 이를 싣는 실수를 했고, 이에 대한 관리 감독도 소홀했습니다”라며, “조국씨 부녀와 독자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조선일보>의 사과문에서는 담당기자가 기사를 작성한 취재기자인지 편집기자인지 책임소재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또한, 징계나 재발 방지 대책에 대해서도 전혀 언급이 없었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 A씨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6월 21일자 조선일보 성매매 관련 기사에 실렸던 그림은 해당 기사를 위해 발주받아 그린 것이 아니다”라며 “예전에 다른 칼럼에 실렸던 그림이 회사(조선일보) 편집팀 실수로 이번에 게재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조국 전 장관은 페이스북에 “제 딸 관련 악의적 보도에 대한 조선일보의 두 번째 사과. 상습범의 면피성 사과입니다. 도저히 용서가 안 된다"면서 "법적 책임을 묻겠다. 국회는 강화된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을 서둘러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이엠피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