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노골적으로 비난하는 기사를 내보냈던 보수 언론들이 부동산 광고는 제일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5일 열린민주당 김진애 의원이 대표의원으로 있는 국회의원연구단체 '도시공간정책포럼'이 개최한 ‘언론과 부동산’토론회에서는 주요 일간지들의 부동산 광고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포럼 의뢰로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6월 17일부터 3개월간 7개 언론사 지면 광고 1만 7,427건 중 부동산 광고는 1,956건으로 전체의 11.2%를 차지했습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국경제 등 총 7개 일간지를 조사한 결과 전체 광고 중 부동산 광고의 비중이 가장 높은 신문은 중앙일보였습니다.

부동산 광고 비중이 높은 일간지를 보면 중앙일보 15.36%, 조선일보 14.1%, 동아일보 13.8%로 보수언론들이었습니다. 매일경제 12.9%, 한국경제 9.6% 등 경제지가 뒤를 이었고, 한겨레와 경향은 각각 3.4%, 3.1%로 가장 낮았습니다.

광고 개수 기준으로는 동아일보가 459건으로 부동산 광고를 지면에 가장 많이 실었고, 조선일보 422건, 중앙일보 395건, 매일경제 319건, 한국경제 255건, 경향신문 57건, 한겨레 49건 순이었습니다.

부동산 광고 유형을 보면 ‘분양’이 1,675건으로 85.7%에 달해 부동산 광고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홍보’는 38건으로 1.9%였습니다.

전면 부동산 광고 비중이 가장 많은 조선일보



7개 일간지가 1면에 부동산 광고를 배치한 횟수는 총 267회로 비율로 따지면 절반에 가까운 47.8%였습니다.

발행일 중 1면 부동산 광고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동아일보로  66.3%(53회)였습니다. 한국경제가 60%(48회)로 뒤를 이었고, 중앙일보 (47회, 58.8%), 조선일보 (46회, 57.5%), 매일경제 (46회, 57.5%)는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경향신문은 20%(16회)였지만, 한겨레는 13.9%(11회)로 가장 낮았습니다.

전면 부동산 광고가 가장 많은 일간지는 조선일보였습니다. 조선일보는 총 161건의 부동산 광고를 전면 광고로 실어 비율은 38.2%로 나타났습니다. 중앙일보는 35.2%로 조선일보와 비슷했으며, 동아일보는 30.7%로 조선일보, 중앙일보보다는 다소 낮았습니다. 그러나 한겨레 26.5%, 매일경제 26%, 한국경제 22.7%와 경향신문 15.8%과 비교했을 때는 큰 차이를 나타냈습니다.

분석을 진행한 민언련은 이번 조사에는 시간의 한계로 '기사형 광고' 분석은 이뤄지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기사형 광고'는 기사 형태로 '전문기자', '독점인터뷰', 편집자 주'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내보내는 광고를 뜻합니다. 독자에게는 기사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광고이자 노골적인 홍보인 셈입니다.

뉴스타파 보도를 보면 2019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기사형 광고를 내보낸 신문은 '조선일보'로 무려 976건이었습니다. 특히 조선일보는 '광고 표시 없이' 기사형 광고를 실어 227건의 경고와 47건의 주의를 받았습니다.

부동산 정책 비판 언론, 믿을 수 없는 이유 

 

 

 

▲임대차3법을 악의적으로 비난하는 기사를 내보냈던 조선, 중앙,동아일보 (관련기사: '임대차 3법'을 전세 씨말리는 '악법' 취급하는 보수언론)
▲임대차3법을 악의적으로 비난하는 기사를 내보냈던 조선, 중앙,동아일보 (관련기사: '임대차 3법'을 전세 씨말리는 '악법' 취급하는 보수언론)

 



전남과학대 최은경 교수가 분석한 언론의 부동산 대책 보도 패턴을 보면, 투자·중개업 전문가가 부동산 정책 보도를 독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79건의 취재원 인용 사례 중에는 부동산 직종 종사자의 인용이 30%로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조선·중앙·동아일보의 경우 인용이 34%로 20%인 한겨레·경향보다 1.5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 등을 가장 비판적으로 보도한 신문은 조선일보였고, 다음으로는 동아일보와 중앙일보였습니다.한겨레와 경향신문의 비판 보도가 가장 적었습니다.

조선, 중앙, 동아일보는 임대차 3법이 발표되자 일부 사례를 소개하며 정책이 이미 실패했고, 법이 국회를 통과하자마자 시장에는 부정적 효과가 나고 있다는 프레임으로 보도를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수언론들은 일부 특정 사례를 통해 국회를 통과한 법이 시장에서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틀 짓기는 6.17대책보다 임대차3법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당시 언론사는‘당정 무능론’,‘시장경제 파괴론’,‘갈등 부추기기’ 프레임의 보도를 주로 내보냈습니다.

도시공간정책포럼은 열린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시대전환, 기본소득당 등 여야의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건축공간연구원, 국토도시계획학회, 한국사회주택협회, 한국도시재생학회, 리슨투더시티, 도시표준연구소, 민달팽이유니온, 이강훈(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변호사), 김남근(민변 부회장)이 현장그룹으로 함께 하고 있습니다.

포럼에서 대표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진애 열린민주당 의원은 도시건축가 출신으로 지난 8월 임대차 3법을 의결하는 국회 본회의에서 언론을 향해 "기사를 빙자한 부동산 부풀리기나 부동산 광고에 흔들리지 말라"고 발언하기도 했습니다. (관련기사:김진애, 국회가 비로소 밥값을 하는 날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이엠피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