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탄핵' 국민청원 폭주... 한때 접속대기자만 만 명
윤 탄핵 국민동의청원 60만 명 넘어... 이태원 참사 조작설 이후 급증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요구하는 국민들이 급증하면서 국회 국민동의청원 사이트에 대한 접속이 지연되는 사태가 빚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국민동의청원은 29일 한 때 접속자가 만 명이 넘어서면서 대기 시간만 약 1시간에 달하는 등 접속 지연 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국민동의청원 사이트에 올라온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즉각 발의 요청에 관한 청원'은 20일 처음 게재된 후 사흘 만에 5만명의 동의를 충족해 법사위에 회부됐습니다. 이후 27일 23만 명이 동의한데 이어 29일에는 오후 4시 기준 60만명을 넘었습니다. 불과 이틀 만에 35만 명에 달하는 국민들이 윤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한 셈입니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청원 동의가 급격하게 증가한 이유는 김진표 전 국회의장의 회고록을 통해 윤 대통령의 발언이 알려지면서입니다.
김 전 의장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2022년 12월 5일 국가조찬기도회 때 윤 대통령을 만나 이상민 장관의 자진 사퇴를 설득했다고 합니다. 그러자 윤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에 관해 지금 강한 의심이 가는 게 있어 아무래도 결정을 못 하겠다. 이 사고가 특정 세력에 의해 유도되고 조작된 사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윤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 조작 가능성을 언급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야당과 유가족은 물론이고 일반 국민들까지도 윤 대통령을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김웅 전 국민의힘 의원도 28일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꼭 대통령에게 당부드리고 싶다"며 "제발 유튜브 좀 그만 보시라"고 말했습니다. 김 전 의원은 대통령을 향해 "이러다 우리 다 죽는다"라고 호소한 뒤 대신 유가족에게 사과했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대통령실은 "국회의장을 지내신 분이 국가조찬기도회에서 대통령에게 독대를 요청해 나눴던 이야기를 멋대로 왜곡해서 세상에 알리는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라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일부 온라인커뮤니티와 포털 사이트 뉴스 댓글란에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민동의청원 링크와 함께 서명을 촉구하는 글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일각에선 법사위 회부가 결정됐지만 윤 대통령을 향한 탄핵 요구 민심이 들끓고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면서 100만 명 이상이 서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한편, 청원인은 "경제, 안보, 외교, 민생, 민주 등 대한민국의 모든 분야가 총파산하고 있다"면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유로 ▲군사법원법 위반 (박정훈 수사단장 외압 행사) ▲뇌물수수, 주가조작 (윤석열,김건희 일가 부정비리, 국정농단) ▲평화통일 의무 위반 (전쟁위기 조장) ▲대법원 판결 부정 (일본 강제징용 친일 해법 강행) ▲국가와 국민 생명·안전권 위협 (후쿠시마 핵폐수 해양투기 방조) 등을 꼽았습니다.
29일 5시 기준 국회 국민동의청원은 여전히 대기인원이 만 명이 넘어섰고, 예상 대기 시간은 30분 넘게 소요되고 있습니다.